이 책을 읽기 전에는 '기분과 감정'은 형이상적 차원인 마음과 생각에서 나온다고 막연하게 여겼습니다.
상황에 따른 판단이 감정과 기분을 발생하며, 나의 생각을 통제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자기계발서에 나오는 논리를 바탕으로 생각했었으나, 과학적인 측면(생물학적인)에서 다뤄본다면 단순하게
볼 주제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인간의 감정은 화학작용의 결과라는 정도는 알고 있었지만 더욱 세부적으로 파고듭니다.
여러 예시를 들고 과학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기분과 감정'은 유전자, 후성유전적 프로그래밍, 미생물총, 환경에 의해 지대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비유를 하자면 인간은 로봇이며, 그 로봇을 조종하는 것은 몸 속에 있는 유전자나 균, 미생물들 일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어떤 환경에서 미세분자(나를 이루고 있는)가 어떻게 영향을 받느냐에 따라 내 생각과 기분이 결정된다는 것입니다.
미세 분자에 환경적 변이를 줌으로써 감정과 기분의 차이를 다양하게 설명하고 있는 것이 새롭습니다. 평소에 읽지 않던 분야라 그런지 용어나 내용이 어렵기도 했습니다.
결론적으로, 그렇다면 나의 감정과 기분을 어떻게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물음이 생깁니다만 그에 대한 해답은 명확히 나오지는 않습니다. 과학적인 근거를 들고 있지만 어떻게 활용해야된다는 내용을 다루는 도서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현재 생물학적인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더욱 기대됩니다.
머지않아 사람의 감정과 기분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 지식과 기술을 활용한 시대가 도래할 것 같습니다.
-유전자와 생화확물질이 우리의 느낌을 주도한다는 사실이 너무 기계적으로 느껴져 불편할 수도 있다. 감정의 통제를 받는 대신 감정을 통제하는 능력이다. -감정이 옳을 수도 있고 틀릴 수도 있는 생화학적 신호임을 인정하면, 아무 생각 없이 순수하게 본능에 휘둘리기보다 이성이라는 렌즈를 통해 이런 충동을 들여다 볼 수 있다. -우울증을 만들어내는 유전자를 찾는 노력과 병행해 수많은 연구를 통해 스트레스가 심한 생활사건이 우울증 발병에 핵심요소임이 확실히 밝혀졌다. 그중 중요한 것으로는 외로움, 실업, 인간관계 스트레스 등이 있다. 하지만 목록의 꼭대기를 차지하는 것은 아동학대나 아동방임이다. -아동기에 겪었던 역경의 여파는 정신적 외상이 끝난 지 오랜 후에도 그 피해자를 괴롭힐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학대 환경에서 빼내 잘 보살피는 환경에서 성장한다 해도 그럴 수 있다. 부정적 아동기 경험은 그저 피상적인 상처만을 남기는 데서 그치지 않는다. 이것은 피해자의 DNA로 파고들어 유전 암호에 흉터를 남긴다. -사람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의 스트레스 사건에 더해, 문화 또한 유전자가 진화와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돌연변이 5HTT가 꼭 그 사람을 우울증에 쉽게 걸리는 성향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 부정적 경험 모두에 , 특히 사회적 경험에 더 민감해지도록 만든다는 주장이다. 우울증이 잘 유발되는 5HTT보유자를 보유한 아동이 좋은 멘토를 두게 되면 우울증에 대한 취약성이 훨씬 줄어든다. 반면 5HTT 변이를 보유한 아동이 학대받고 긍정적인 지원시스템을 확보하지 못하면 우을증 평가 점수가 가장 높게 나왔다. 우울증에는 유전자가 분명 중요하다. 하지만 환경 또한 마찬가지로 중요하다. 특히 아동기에 중요하다. -장내의 세균의 따라 기분이 달라질 수 있다. *행복이 생각처럼 좋지만은 않은 이유 / 행복의 부정적인 결과 -나는 우리가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 이 땅에 온 것이 아니라 생각한다. 내 생각에 우리는 스스로 육체적, 감정적, 지적 시험대에 오르기 위해 이곳에 온 것 같다._ 존 멜런캠프 -기분이 나빠지면 목표 달성에 필요한 갈망과 추진력을 회복할 수 있다. -감정상태는 자신의 상태를 상대방에게 전달할 때 중요하다. 우리가 항상 행복하다면 다른 사람들은 우리가 언제 도움과 뒷받침이 필요한지 알지 못한다. -행복해지려고 집착하는 사람이 자기가 이미 처해있는 상황을 감사히 받아들이는 사람과 시간을 다르게 인지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행복을 뒤쫓는 사람은 마음이 급해지고 시간이 촉박하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느낌은 행복을 방해한다. -우리는 유전자, 후성유전적 프로그래밍, 미생물총 같은 숨은 힘들이 무의식적으로 우리의 밝은 기질이나 그리 밝지 못한 기질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받아들이게 될 것이다. -기분의 문제와 관련한 생물학적 토대를 잘 이해해야 새로운 치료법도 세상에 많이 나올 수 있다. |
'취미 > 씽큐ON 8기_체인지그라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 번재 도서, 마음 챙김(뇌를 재설계하는 자기연민 수행) (0) | 2021.01.19 |
---|---|
서평_[나를 나답게 만드는 것들] 프로메테우스의 불 (0) | 2021.01.08 |
Part6.나의 짝과 만나다. (0) | 2021.01.04 |
"나를 나답게 만드는 것들" [Part4. 나의 중독과 만나다] (0) | 2020.12.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