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공부

주린이) 주식 재무제표를 쉽게 보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립니다.

by 하늘 위 종이배 2021. 2. 2.

 

재무제표 확인 시 기본적으로 봐야할 것

 

1)손익계산서

ㄱ) 매출액(수익)

 

매출액-매출원가 = 매출총이익

매출총이익/매출액=매출총이익률

 

ㄴ) 당기순이익:(마진 개념) 지출을 제외한 실제 순이익

 

1. 매출액/당기순이익으로 본 좋은 기업 

:당기순이익이 지속적으로 증가추세에 있는 기업

ex)코라콜라 매출액 대비 당기순이익 21%

    무디스 매출액 대비 당기순이익 31%

 

2. 매출액/당기순이익으로 본 좋은 나쁜기업

:당기순이익이 지속적으로 하락추세에 있는 기업

ex)사우스웨스트항공 매출액/당기순이익 7%

 

*EBITA(Earning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이익            이자,      세금,       감가상각]        

:영업활동을 통해 현금 창출능력(이자비용, 법인세, 감가상각비 차감전 이익)

 


 

2)재무상태표 [1월부터 12월까지가 아닌 일정 시점의 스냅샷]

 

*자산=자본+부채

*순자산=자산-부채

 

:부채보다 자본의 비중이 커야지 안전한 운영이라 할 수 있음. 부채가 낮으면 낮을 수록 좋다.

:부채가 많을 수록 자본의 안정성이 떨어진다. 

 

 

 

■유동자산: 1년 내 현금화 가능 자산

현금성 자산은 지속적으로 증가해야지 좋은 추세라 할 수 있다. 현금성 자산이 떨어질 경우 리스크대처가 어려워짐

삼성전자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 꾸준하게 안정적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대한항공의 현금 및 현금성자산, 들쭉날쭉한 것을 알 수있으며 사업 축소를 통해 현금성자산을 확보하고 있다. 좋지 못한 예. 

 

 

재고자산: 물건이 많이 쌓여있을 수록 좋은 것임  ※단 당기순이익과 함께 올라가야 좋다.(물건도 많고 판매도 많다는 뜻)


■비유동자산: 단기현금화 불가자산

-유형자산▶설비, 장비 등 보이는 자산

 :유형자산 증가ok, But 지속투자는 없는게 좋다.

 

-무형자산▶브랜드,특허 등 보이지 않는 자산

:무형자산 평가는 주관적, 액면가 이상 가치평가가 좋다.

 

 

■장기투자자산: 단기현금화 불가자산

-장기투자자산 : 투자가 장기인 자산기업은 장기투자자산에 집중!

시가, 취득가 중 낮음 금액으로 계상된다. 그러므로 그 회사가 투자 가치가 액면가보다 가치가 더 높은지

혹은 더 낮은지 확인해봐야 한다.  (+,-)가 표기되지 않는다.

 

 

 

■부채

비유동부채(장기부채): 거의 없어야 좋다.

콜라콜라 장기부채 < 1년 순이익

리글리,워싱턴포스트 장기부채 <2년 순이익

 

 

 

■자본

지배기업주주: 대주주

비지배주주:  소액주주

 

이익잉여금(순이익 중 사내유보금/ 지속적으로 늘어야 좋음)

-주주들에게 배당을 줄 지, 지속적인 투자를 할지 회사는 선택해야함.

 배당보다는 더 투자해서 추가성장하는 것이 더 좋다. 주가상승을 해야한다. 

 

댓글